"되”와 “돼”의 구분법
1. “되”의 쓰임
어간 + 되다 형태로 사용합니다. 예를 들어, "하게 되다", "이루어지다", "되었다"처럼 ‘되다’의 어간인 ‘되’를 사용합니다.
예문: "그 일이 잘 되길 바랄게." / "오늘은 일이 잘 되었다."
2. “돼”의 쓰임 “돼”는 ‘되+어’가 줄어든 형태로, "되다"의 활용형입니다.
예를 들어, "되어"가 줄어들어 "돼"로 사용됩니다.
예문: "그렇게 하면 안 돼." / "나중에 잘 돼 있을 거야."
쉽게 구분하는 방법 문장에서 “돼” 대신 “되어”로 바꿔 읽어보세요. 말이 자연스럽게 되면 “돼”가 맞고, 어색하면 “되”가 맞습니다.
예시 "그렇게 하면 안 돼." → "그렇게 하면 안 되어." (자연스럽죠? 그래서 “돼”가 맞아요.) "그 일이 잘 되길 바랄게." → "그 일이 잘 되어길 바랄게." (어색하죠? 그래서 “되”가 맞아요.)
고마워 Chat gpt, 그렇게 하면 돼~
출처 : Chat gpt